겨울철에 발생하는 정전기, 예방법.
요즘은 정전기 주의보의 계절입니다.
여기서도 찌릿, 저기서도 찌릿, 우리들을 귀찮게 하는 겨울철의 불청객 정전기는 왜 겨울철에만 자주 찾아오는 것일까요?
그리고, 사람마다 정전기를 느끼는 데 차이가 있을까요?
사람마다 어떤 옷을 입느냐에 따라서 정전기 발생량이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피복들은 전기를 잘 통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까, 발생한 정전기는 그대로 우리 몸에 남아있는 상태가 됩니다. 그런데, 면류와 같은 섬유들은 전기를 잘 통하게 해서 정전기가 많이 소멸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정전기가 발생하면 +, - 전기가 섬유에 발생하는 것인데, 이 섬유에 수분을 뿌려주고 습기가 있으면 +, - 전기가 서로 소멸해서 정전기를 못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정전기는 바로, 습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공기중에 수증기량, 습도가 낮을수록 정전기가 더 잘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또, 정전기는 사람의 땀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과 아닌 사람의 경우인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의 경우, 내복 피복에 땀이 많이 흡수되어서 젖어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많이 소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땀이 별로 없는 사람은 그만큼 정전기가 소멸이 안 되기 때문에 더 많은 정전기를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
머리카락의 굵기가 얇을수록 정전기를 더 잘 느낀다는 말도 있는데, 머리카락이 굵든 또는 가늘든 머리카락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량 자체는 우리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양에 비해 너무나 작은 양이고, 바람에 날리면서 계속 살갗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계속 우리 사람 몸을 통해서 방전하기 때문에 그것은 전혀 우리가 정전기를 느끼는 것과 관계가 없다고 합니다.
습도가 낮을 때마다 찾아오는 이 정전기는, 특히 몸이 건조한 사람일수록 정전기를 더 잘 느낀다고 하니까, 우리 몸에도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주고, 옷과 실내 환경에서도 습도 유지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Lifestyle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터들의 비밀 참고 사이트 (0) | 2019.05.13 |
---|---|
청년내일채움공제 (0) | 2018.03.20 |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을 위한 <꿈드림센터> (0) | 2017.12.04 |
새 냄비와 새 프라이팬, 사용 전 세척법 (0) | 2017.12.02 |
우리가 알지 못했던 구글 검색의 기능들 (0) | 201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