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살 고위험군 지원 확대 및 인프라 강화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 044-202- 3892, 3893)
자살예방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해 지자체 자살예방 인프라 확대 및 자살 고위험군 지원을 강화합니다.
♣ 자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1인 최대 100만원을 지원하는 ‘자살 고위험군* 치료비 지원사업’이 신설되며, 자살 시도로 발생한 신체적 손상 응급처치비, 입원·외래치료비 등을 대상자 신청을 통해 국비(100%)로 지원합니다.
*치료가 필요한 자살시도자 또는 자살 유족 대상
♣ 또한, 자살예방법 개정*(’22.8.4.시행)에 따른 자살 고위험군 사례관리 약 인원 2.5배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자살예방 전담인력을 증원(’22년, 467명 → ’23년, 500명)합니다.
* 경찰, 소방에서 당사자 동의 이전에 자살예방센터로 자살시도자 등 정보연계 및 사례관리 근거 마련으로 사례관리인원(2만명 → 약 5.1만명) 증가 예상
♣ 이를 통해 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 주도로 방문상담, 인식개선 활동 등 사전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의 특성의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300x250
::::: 추진배경 ::::: 자살예방법 개정에 따른 사례관리 인원 증가 등에 대비한 고위험군 발굴·관리 강화 및 자살예방 인프라 확대 추진
::::: 주요내용 :::::
•자살 고위험군 치료비 지원사업(국비 5억) 신설
•자살예방 전담인력(+33명) 확대
::::: 시행일 ::::: 2023년 1월 1일
반응형
'◆달라지는 주요제도◆ > 2023년부터 달라지는 주요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장애인과 장애아동 돌봄서비스 확대 (0) | 2023.03.31 |
---|---|
정신의료기관 환경개선 사업 추진 (0) | 2023.03.31 |
부모급여 도입 (0) | 2023.03.29 |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지원 강화 (0) | 2023.03.29 |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 장애인의 활동지원 급여 신청 허용 (1) | 2023.03.29 |